체중 널뛰는 중년, 치매 걸릴 위험 최대 2.5배 2024 / 10 / 02 [오후 2:13:28]    
  공식 (   homepage ) [조회 : 1613]     

중년기에 체중이 주기적으로 급격히 변동할 경우 조기 치매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류지원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교수와 윤형진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약 360만 명을 분석한 결과, 체중 변동이 클수록 치매 발병 위험이 급격히 증가한다고 밝혔다.연구팀은 1~2년 간격으로 5회 이상 검진을 받은 환자들을 10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해 체중 사이클의 변동 폭을 이전 체중 대비 △3% 이상 △5% 이상 △7% 이상 △10% 이상 네 구간으로 나눠 분석했다.연구에 따르면 체중이 3% 이상 변동하는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정상 체중을 유지한 사람보다 약 1.2배 높아지며, 체중 변동 폭이 10%를 초과하면 그 위험이 2배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중이 주기적으로 급증하거나 급감하는 이른바 '체중 사이클'이 자주 발생할 경우, 조기 치매 발병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 10% 이상의 체중 변동을 2회 이상 경험한 경우, 치매 위험은 최대 2.5배까지 치솟았다. 발병 평균 연령은 58세로, 조기 치매에 해당하는 연령대다.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한편, 이번 연구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경우, 체중 변동으로 인한 치매 위험성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는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²)으로 나눈 값으로, 개인의 체지방 수준을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25 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된다.류지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체중 변동이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중년 이상에서는 적정한 체중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와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게재됐다.

프린트


  -IP:3.16.109.195 / 덧글(0) -.
이름:   비밀번호:
  수정  삭제

[전체 : 1928개] 게시판 관리
NO TITLE NAME DATA HIT
1343 콜택시로 같이 움직였다니까요 [0] 초콜릿 2024/07/26 4551
1342 좋은 알바자리 구하세요 [0] 이재영 2024/07/26 2857
1341 SLL, TV아사히와 글로벌 콘텐츠 공동제작 협약 [0] dsada 2024/07/25 3832
1340 비로소 하루의 끝 [0] 비로소 2024/07/25 2921
1339 관절에 관절보궁 가격 [1] 차소민 2024/07/25 3890
1338 가전제품추천 [0] ㅇㅇ 2024/07/22 4268
1337 안녕하세요 20대 민지입니다 [0] 장민지 2024/07/21 2827
1336 인천에서 신뢰할 만한 탐정사무소가 어디 있을까요? [0] enfl 2024/07/19 3566
1335 요양병원입원을 고려할 때 [0] enfl 2024/07/19 3631
1334 ccc [0] adsfs 2024/07/17 3616
1333 ccc [0] asdg 2024/07/17 4215
1332 SLL, TV아사히와 글로벌 콘텐츠 공동제작 협약 [0] dasd 2024/07/16 3851
1331 가평빠지클럽미사에서의 스포츠 활동 [0] M 2024/07/16 4102
 
  
이전 10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10페이지